마인크래프트 서버 명령어 설명

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열기전에 server.properties 파일로 여러가지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마인크래프트 서버 명령어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.

기본적으로 true, false로 설정할 수 있으니 적절히 변경하도록 하시기 바랍니다.

기본 설정
  • allow-flight=false: 플레이어가 비행 모드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. false면 비행을 허용하지 않습니다. true로 변경하면 비행을 허용합니다.
  • allow-nether=true: 네더 월드로 이동할 수 있는지 설정합니다. true면 네더로 이동 가능합니다.
보안 및 권한 설정
  • broadcast-console-to-ops=true: 서버 관리자(op)에게 콘솔 메시지를 전송할지 결정합니다.
  • broadcast-rcon-to-ops=true: RCON 메시지를 서버 관리자에게 전송할지 설정합니다.
  • enable-rcon=false: 원격 콘솔(RCON)을 활성화할지 설정합니다. false면 비활성화됩니다.
  • op-permission-level=4: 서버 관리자(op)의 권한 수준을 설정합니다. 1부터 4까지 있으며, 4가 가장 높은 권한입니다.
게임 플레이 설정
  • difficulty=easy: 게임의 난이도를 설정합니다. easy, normal, hard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.
  • gamemode=creative: survival(생존), creative(창작), adventure(모험), spectator(관전) 모드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.
  • max-players=20: 최대 플레이어 수를 설정합니다. 여기서는 20명입니다.
네트워크 설정
  • server-ip=48.51.162.231: 서버의 IP 주소를 설정합니다.
  • server-port=25565: 서버의 포트 번호를 설정합니다. 기본값은 25565입니다.
성능 및 최적화
  • max-tick-time=60000: 서버가 얼마나 오래 ‘멈춰있을’ 수 있는지를 밀리초 단위로 설정합니다.
  • view-distance=10: 클라이언트가 볼 수 있는 거리를 설정합니다. 여기서는 10 청크입니다.
기타 설정
  • motd=A Minecraft Server: 서버의 MOTD(Message of the Day)를 설정합니다. 이 메시지는 플레이어가 서버 목록에서 서버를 볼 때 표시됩니다.
네트워크 설정
  • network-compression-threshold=256: 패킷 압축을 시작할 데이터 크기를 설정합니다. 여기서는 256바이트입니다.
보안 및 권한 설정
  • online-mode=true: 온라인 모드를 활성화합니다. true면 플레이어는 Mojang 계정이 필요합니다.
  • op-permission-level=4: 서버 관리자(op)의 권한 수준을 설정합니다. 4가 가장 높은 권한입니다.
플레이어 관리
  • player-idle-timeout=0: 플레이어가 얼마나 오랫동안 아무 것도 하지 않아도 되는지 설정합니다. 0은 시간 제한 없음을 의미합니다.
  • prevent-proxy-connections=false: 프록시 연결을 방지할지 여부를 설정합니다. false면 프록시 연결을 허용합니다.
  • pvp=true: 플레이어 간 PvP(플레이어 대 플레이어 전투)를 허용할지 설정합니다.
추가 네트워크 설정
  • query.port=25565: 서버 상태 쿼리 포트를 설정합니다.
  • rate-limit=0: 패킷 전송 속도 제한을 설정합니다. 0은 제한 없음을 의미합니다.
원격 관리
  • rcon.password: RCON(원격 콘솔)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.
  • rcon.port=25575: RCON 포트를 설정합니다.
리소스 팩
  • require-resource-pack=false: 리소스 팩을 필수로 설치하게 할지 설정합니다.
  • resource-pack: 사용할 리소스 팩의 URL을 설정합니다.
  • resource-pack-prompt: 리소스 팩 설치 시 나타낼 메시지를 설정합니다.
  • resource-pack-sha1: 리소스 팩의 SHA-1 해시 값을 설정합니다.
성능 및 최적화
  • simulation-distance=10: 서버가 얼마나 많은 청크를 활성 상태로 유지할지 설정합니다.
  • sync-chunk-writes=true: 디스크에 청크 데이터를 동기적으로 쓸지 여부를 설정합니다.
플레이어 및 엔터티 설정
  • spawn-animals=true: 동물이 스폰될지 여부를 설정합니다.
  • spawn-monsters=true: 몬스터가 스폰될지 여부를 설정합니다.
  • spawn-npcs=true: NPC(비플레이어 캐릭터)가 스폰될지 여부를 설정합니다.
  • spawn-protection=16: 스폰 지점 주변에서 보호되는 영역의 크기를 설정합니다.
기타 설정
  • text-filtering-config: 텍스트 필터링 설정을 지정합니다.
  • use-native-transport=true: 네이티브 트랜스포트 레이어를 사용할지 설정합니다.
  • view-distance=10: 클라이언트가 볼 수 있는 거리를 설정합니다.
  • white-list=false: 화이트리스트를 사용할지 여부를 설정합니다.
서버에 관리자 명령어
  • 특정 사용자를 관리자로 임명할때는 op ‘사용자이름’을 넣으면 됩니다.
  • 반대로 deop’ 사용자이름’을 관리자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.
마인크래프트 서버 명령어



마인크래프트 서버 여는 방법은 여기로 이동하세요.

Leave a Comment